국립부경대학교 | 기술경영전문대학원

2025-2학기

2025-2학기 기술경영전문대학원

☆ 수강신청

 1. 수강신청 기간2025. 8. 6.() ~ 8. 8.()

 2. 수강신청 변경기간2025. 9. 1.() ~ 9. 7.()

 3. 수강신청 방법인터넷 또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본인이 직접 수강신청

  1) 인터넷 이용시

   - 국립부경대학교 홈페이지(http://www.pknu.ac.kr 대학생활 수강신청

   - 수강신청 바로가기  (http://sugang.pknu.ac.kr)

 2) 모바일(스마트폰이용시

   -  Play스토어(Android 계열또는 앱스토어(iOS 계열)에서 “부경대 수강신청” 검색 후 부경대학교 개발 App 설치·접속을 통한 수강신청 실시

  ※ 신입생의 경우 학번ID은 수험번호이며비밀번호PW는 수험번호+생년월일6자리

  ※ 수험번호는 "수강신청시스템학번/비밀번호 찾기"에서 확인 가능


☆ 강의계획서 조회 방법

국립부경대학교 학사행정정보시스템>학사정보>수강>수강신청>수강시간표 및 강의계획서 조회(기술경영전문대학원 조회)

(https://irumi.pknu.ac.kr/nxui/launch.html?screenid=Desktop_screen_quick&menuId=U020913)

 

☆ 대학원 수강신청 시 유의사항

 1. 매학기 수강신청학점은12학점 이내입니다.(외국인 학생은 한국어강좌를 수강할 경우 신청 제한 학점에 포함하지 않음)

 2. 대학원은 수강신청 변경기간 이후 신청과목에 대하여 포기(취소)제도가 없으므로 반드시 수강신청기간 및 변경기간 내에 수강신청을 완료하시기 바랍니다.

 3. 기술경영전문대학원 학생이 과학기술정책학과(STP)또는 타 대학원 수업을 수강하고 싶은 경우아래 서식을 작성하여 성적증명서와 함께 기술경영전문대학원 행정실 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 

☆ 타 대학원 및 타 전공 이수학점 인정

  - 본교에서 1학기 이상 이수한 자(신입생 신청 불가)

  - 이수학점의 2분의 1의 범위 안에서 인정(석사과정 18학점박사과정 21학점)

  - 1학기 최대 6학점 신청가능

  - 제출 목록

 1) 타 대학원 수학 지원서 :[붙임1] 타 대학원 수학지원서 양식(2025-2학기)

 2) 성적증명서는부경대학교 - certpia에서 발급(https://pknu.certpia.com/)받아 스캔하여 같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.

 - 제출처: 행정원 메일(mot_pknu@pknu.ac.kr)

 ★ 타 대학원 과목은 8 22()까지 신청서 성적증명서 제출하면 수강신청 변경기간 반영됩니다.

 

 전공필수 교과목(전공필수 과목은 졸업 전까지만 이수하시면 됩니다.)

 2021학년도 1학기부터 2022학년도 2학기 입학자까지

 기술회계및재무론, MOT개론기술사업화연구조사방법 중 2과목 선택,

 제조업혁신성장현장연구창업및신산업창출현장연구 중 1과목 선택하여 반드시 이수


 2023학년도 1학기 입학자부터

→ 기술회계및재무론, MOT개론기술사업화연구조사방법기술경영통계  2과목 선택,

→ 제조업혁신성장현장연구창업및신산업창출현장연구  1과목 선택하여 반드시 이수

 (※23,24년도 입학자 중 현장연구 교과목 미 이수자는 25년도 이후 입학자 현장연구 과목 수강, 동일교과목 지정 목록 확인)


  2025학년도 1학기 입학자부터

→ 기술회계및재무론, MOT개론기술사업화연구조사방법기술경영통계  2과목 선택

→ 글로벌첨단전략산업현장연구,지역문제해결형산업현장연구 1과목 선택하여 반드시 이수

 

※ 2025학년도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교과목 변경 사항 안내


동일 교과목

번호

기존 교과명

변경 교과명

1

IPR전략분석

글로벌IPR전략분석

2

전략경영과경쟁우위

글로벌경영전략

3

ESG기술경영

지속가능기술경영

4

기술경영특론

글로벌기술경영특론

5

기술경영특론

글로벌기술경영특론

6

융합기술사업화의실제

글로벌기술사업화의실제

7

융합기술창업의실제

글로벌기술창업의실제

8

기술경영인턴십

글로벌기술경영인턴십

9

기술경영인턴십

글로벌기술경영인턴십

10

친환경육상모빌리티

친환경육상모빌리티 개론

11

첨단해양모빌리티

첨단해양모빌리티 개론

12

제조업혁신성장현장연구

지역문제해결형산업현장연구

13

창업및신산업창출현장연구

글로벌첨단전략산업현장연구